-
JavaScript 기능 구현 - 토글ChatGPT 2023. 2. 28. 13:08
간단한 JavaScript 기능을 chatGPT를 이용해 추가할 수 있을지 보았다. 간단한 텍스트가 있는 웹사이트고, 왼쪽상단에 토글 버튼이 있다. 토글 버튼을 클릭했을때 왼쪽으로부터 navBar가 등장하거나 사라지는 기능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. 그리고 새로고침 등을 했을때에도, toggle의 on/off 상태가 저장되서 유지되었으면 좋겠다. 조금씩 단계별로 진행을 해보려고 자그마한 부분의 코드만 먹여보았다. 쉽게말해 토글버튼과 토글을 할 navBar를 getElementsByClassName로 잡을 경우, 2개 이상이 잡힐 수 있으니 하지 말라는 조언이었다. 수정해주자. const toggleButton = document.querySelector('.toggle'); const navBar = do..
-
DOM에 대한 이해ChatGPT 2023. 2. 25. 05:13
간단히 말해 HTML 문서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인데, JavaScript에서 사용되어 HTML / CSS를 조작해 상호 작용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. 그런 작업을 하기 위해서 DOM API, 즉 상호 작용을 도우는 메소드가 있는데, 일반적으로 document API, element API, event API, node API가 있다. 1. Document API : 2. Element API 3. Event API 4. Node API JavaScript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몇 번 해보았지만 기본적인 개념을 다시 끄집어내서 배우니 내가 쓰던 코드들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grouping 되어있는지 복습하는 기회였다.
-
2일차 - chatGPT을 통해 알아보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차이점ChatGPT 2023. 2. 14. 01:06
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둘다 개발자의 코딩과정을 도와주는데, 라이브러리의 경우 개발자가 직접 코드의 플로우를 제어하고, 다른 라이브러리 사용에 구애받지 않는 다는 점이 있다고 한다. 프레임워크의 경우, 단어에서도 뜻을 알 수 있듯이 코드의 틀을 제공하는 것이고, 그렇기 때문에 제공된 프레임워크가 코드의 플로우를 제어한다. 특정 라이브러리를 꼭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. 이렇게 개념을 이해하는데에는 chatGPT를 이용하는 것이 편한 것 같다. 스크린샷은 올리지 않았지만 library와 framework 중 무엇이 더 낫냐는 질문도 해보았는데, 용도나 목적에 따라 다르다면서 각각 사용하기 좋은 상황을 설명해 주었다.